우유 먹은 뒤 설사하는 것이 음식 알레르기일까?
"나는 우유만 먹고나면 설사를 해" , "나는 왜 밀가루 음식을 먹고 나면 소화가 잘 안 되지?" 이런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증상만 보면 음식 알레르기와 비슷하여 음식 알레르기로 인식하기 쉬우나, 실제로는 '음식효소부족증(Food intolerance)'이라는 것으로 오늘은 이 음식효소부족증의 증상과 어떤 종류가 있으며 자연 치료법은 무엇이 있은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증상은?
대개 식후 30분 후에 증상이 나타나지만 48시간 후에도 발현되기도 하여 진단이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소화기증상 : 구강궤양, 소화불량, 복통, 가스 차고 복부 팽만함, 매슥거림, 설사, 변비, 과민성 대장
정신신경 증상 : 두통, 편두통, 어지럼증, 짜증, 극도의 피곤함, 집중부족, 멍함, 심한 졸음
피부 증상 : 홍조, 발진, 두드러기, 가려움증, 피부병, 여드름 같은 발진
호흡기 증상 : 콧물, 코 막힘, 인후자극, 천식, 마른기침
심장 증상 : 저혈압, 부정맥
부인과 증상 : 월결통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시죠
음식효소부족증(Food intolerance)은 어떤 음식 성분을 소화시키는 효소가 부족해서 생기는 증상으로, 다음과 같이 3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유당효소부족증(Lactose intolerance)
우유 안의 유당(락토스Lactose)을 소화시키는 락테이즈(lactase) 효소가 부족하여 복부팽만, 설사를 일으킵니다. 유제품을 먹지 않거나, 유제품을 먹을 때 락테이즈(lactase)효소를 같이 복용하면 문제가 없어집니다.
소아지방변증(Celiac disease; Gluten intolerance)
밀가루, 호밀, 보리, 귀리 등에 함유된 글루텐(gluten)을 소화시키지 못하여 설사, 복부팽만, 영양실조, 발육부진을 일으킵니다. 선천적인 질병이라 치료방법이 없고 글루텐이 있는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합니다.
히스타민효소부족증(Histamine intolerance; HIT)
이름 그래도 히스타민을 분해하여 효소가 부족하여 생기는 증상으로,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킵니다. 나이가 들고 장이 깨끗하지 못하면 소장에 있는 히스타민 분해효소(diamine oxidase; DAO)가 줄어들어 히스타민이 많은 음식을 먹으면 히스타민을 다 분해하지 못합니다. 이것이 몸속으로 흡수되어 전신에서 히스타민에 의한 증상들이 나타납니다.
음식 알레르기와 다른점을 알아보시죠
'히스타민 효소부족증'은 음식 알레르기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과 거의 비슷하여 오진하기 쉬우나 둘의 원인은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음식 알레르기는 어떤 음식의 단백질에 대해 면역반응이 일어나 항체(IgE, IgG)가 생성되고 마스트세포(mast cell)에 의해 히스타민이 분비되어 여러 가지 증상들이 나타나면 경우에 따라 치명적일 수도 있습니다.
반면 히스타민효소부족증은 면역방응이 일어나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증상이 덜 심하고 치명적이지도 않습니다. 혈액검사에서도 항체(IgE, IgG)가 발견되지 않으므로 항체가 발견되는 음식 알레르기와는 분명하게 구별됩니다.
자연치료법은 어떤 내용일지 알아보시죠
음식
히스타민이 없거나 적은 음식을 먹어야 합니다. 참고로 음식의 히스타민은 얼리거나 끊이거나 굽거나 전자렌지에 넣어 열을 가해도 없어지지 않습니다.
그리고 파스트라마(pastrami), 살라미(salami), 오래 발효시킨 치즈, 훈제 생선, 레드와인, 샴페인, 양배추절임(sauerkraut), 소금에 절인 생선, 젓갈 종류 등 오래 숙성시킨 것일수록 히스타민 함량이 많아 집니다.
같은 음식에서도 차이가 많아 육류나 생선이 신선할 때는 히스타민이 거의 없으나, 신선하지 못하거나 오래 가공하거나 소금에 절이거나 훈제를 하면 히스타민이 많아 집니다.
특히 생선은 상하기 쉬워 잠시 상온에 두거나 절임을 하거나 훈제를 하면 히스타민 함량이 많아진다. 또 참치(tuna), 마히마히(mahi-mahi), 보니토(bonito), 고등어, 정어리 같이 원래 히스타민이 많은 생선은 히스타민이 훨씬 더 많아집니다.
그 밖에 히스타민이 많지는 않으나 히스타민을 방출시키는 것(histamine liberator)으로는 초콜릿, 코코아, 딸기, 귤 종류, 파인애플, 파팡, 망고, 메밀, 갑각류 해산물, 오래된 땅콩, 호두 캐슈넛 같은 견과류, 해바라기씨, 머스타드(mustard) 등이 있다. 그리고 조미료(MSG; monosodium glutamate), 방부제(benzoate), 인공색소, 아황산염(sulfite) 같은 첨가물들도 히스타민을 방출시킵니다.
자연치료제
히스타민 분해효소
히스타민이 많이 들어 있는 음식을 피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그런 음식을 가려서 먹는 것이 쉽지는 않은 일입니다. 그럴 때는 히스타민을 분해하는 효소를 식사 15분 전이나 늦어도 식후 15분 안에 복용하면 됩니다.
이 효소가 음식 안의 히스타민을 분해하여 히스타민으로 인한 여러 증상들을 막아 줍니다.
▶레드와인을 마시고 머리가 아픈 사람들이 종종 있는데, 레드와인이 화이트와인보다 히스타민이 많으나 레드와인이라고 다 히스타민이 많은 것은 아닙니다. 라벨에 히스타민 함량이 표기되어 있지 않아 분명히 알 수는 없지만 어떤 레드와인을 마신 후 머리가 아프다면 그 와인이 히스타민이 많은 와인입니다. 이런 경우에도 히스타민 분해 효소를 미리 복용하면 두통이 생기지 않습니다.
소장균, 대장균
장내 나쁜 균이 많아도 히스타민이 많아질 수 있습니다. 클로스트리디아라는 나쁜 균은 많은 양의 히스타민을 생산하여 히스타민으로 인한 증상들을 더욱 악화시키고 변비와 복통, 두통을 일으킵니다.
변비를 없애고 좋은 소장균, 대장균을 복용하여 장의 환경을 항상 깨끗이 유지하는 것이 치료의 기본입니다.
'음식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배추 효능 및 양배추즙 만들기 알아보아요 (0) | 2017.08.25 |
---|---|
상추 효능, 부작용, 보관법 알아보아요. (0) | 2017.07.15 |
초당옥수수 삶는법, 먹는 방법 알아보아요. (0) | 2017.07.13 |
마카 효능 및 마카 부작용 알아보기 (0) | 2017.07.09 |
자두 효능 및 부작용 알아보아요. (0) | 2017.07.08 |